서귀포시에서 유일하게 분만이 가능한 병원인 서귀포의료원입니다. <br /> <br />1년에 분만을 400건가량 하는데 정작 신생아집중치료실 같은 시설을 마련하기도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응급 상황이 생기면 부랴부랴 대학병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신창수 / 서귀포의료원 산부인과 과장 : (아기가) 나와서 당장 호흡하는데 조금 힘들어하면 신생아집중 중환자실이 갖춰져 있지 않은 저희 병원으로선 어쩔 수 없이 아기를 대학병원으로 보내야 하고….] <br /> <br />이 지역 임신부들도 불편이 이만저만 아닙니다. <br /> <br />[주애경 / 서귀포의료원 내원 임신부 : 출산할 수 있는 병원이 여기밖에 없다 보니까 먼 거리라도 여기를 와야 하는 거예요. 출산이 만약에 임박했을 때 빠르게 올 수가 없으니까 그것도 조금 (걱정입니다.)] <br /> <br />정부는 서귀포시 같은 곳을 분만 취약지로 지정해 분만과 외래, 순환진료 산부인과 설치 지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에 105곳이 있는데 대부분 농어촌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분만취약지 지원 사업 효과는 기대 이하입니다. <br /> <br />저출산 경향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분만하지 않는 병원이 많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현유범/산부인과 전문의 : 분만 감소에 따라서 의료 수가도 따라가지 못하니까 결국은 접을 수밖에 없는 겁니다.] <br /> <br />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이 10년이 지났어도 산부인과 없는 지역이 20곳에 이르고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실이 없는 지역도 43곳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분만 취약지를 없애려면 지원과 함께 저출산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농어촌을 중심으로 애를 낳을 수 있는 산부인과가 줄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추세가 이어지면 머지않아 대도시에만 아기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지 모릅니다. <br /> <br />YTN 고재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50213004662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